2024.06.02 (일)

  • 구름조금속초13.2℃
  • 구름조금14.0℃
  • 맑음철원13.0℃
  • 맑음동두천14.2℃
  • 맑음파주12.4℃
  • 구름많음대관령8.3℃
  • 구름조금춘천14.7℃
  • 맑음백령도14.5℃
  • 흐림북강릉13.0℃
  • 흐림강릉14.2℃
  • 구름조금동해13.6℃
  • 맑음서울16.9℃
  • 맑음인천16.7℃
  • 구름조금원주16.2℃
  • 구름많음울릉도14.6℃
  • 맑음수원14.9℃
  • 구름조금영월13.8℃
  • 맑음충주13.3℃
  • 맑음서산13.3℃
  • 구름많음울진14.4℃
  • 맑음청주16.6℃
  • 맑음대전14.7℃
  • 맑음추풍령13.8℃
  • 맑음안동14.3℃
  • 맑음상주16.2℃
  • 맑음포항16.5℃
  • 구름조금군산14.0℃
  • 맑음대구15.8℃
  • 박무전주15.6℃
  • 박무울산15.2℃
  • 구름많음창원17.5℃
  • 흐림광주15.7℃
  • 구름많음부산17.6℃
  • 구름많음통영17.1℃
  • 구름많음목포16.4℃
  • 구름많음여수17.8℃
  • 구름많음흑산도16.6℃
  • 흐림완도16.6℃
  • 구름많음고창14.1℃
  • 흐림순천12.8℃
  • 구름조금홍성(예)14.4℃
  • 맑음13.1℃
  • 구름많음제주17.8℃
  • 구름많음고산17.6℃
  • 구름많음성산17.1℃
  • 구름조금서귀포18.9℃
  • 구름많음진주15.0℃
  • 맑음강화13.3℃
  • 맑음양평15.2℃
  • 맑음이천15.4℃
  • 흐림인제12.6℃
  • 맑음홍천13.6℃
  • 맑음태백10.5℃
  • 맑음정선군11.7℃
  • 구름많음제천13.3℃
  • 맑음보은12.3℃
  • 맑음천안15.3℃
  • 구름조금보령13.2℃
  • 구름조금부여12.8℃
  • 맑음금산11.9℃
  • 맑음13.7℃
  • 구름조금부안15.4℃
  • 맑음임실12.0℃
  • 구름조금정읍13.5℃
  • 구름많음남원12.7℃
  • 맑음장수9.7℃
  • 구름조금고창군13.1℃
  • 구름많음영광군14.2℃
  • 구름조금김해시16.9℃
  • 구름많음순창군13.1℃
  • 구름조금북창원17.9℃
  • 구름조금양산시16.2℃
  • 구름많음보성군18.2℃
  • 구름많음강진군16.4℃
  • 구름많음장흥15.8℃
  • 흐림해남16.5℃
  • 흐림고흥14.8℃
  • 구름많음의령군15.5℃
  • 구름조금함양군
  • 구름많음광양시16.3℃
  • 흐림진도군16.6℃
  • 맑음봉화12.3℃
  • 구름많음영주13.6℃
  • 맑음문경16.0℃
  • 맑음청송군11.3℃
  • 구름많음영덕15.4℃
  • 구름조금의성12.8℃
  • 맑음구미16.5℃
  • 맑음영천13.6℃
  • 맑음경주시14.3℃
  • 맑음거창11.1℃
  • 구름조금합천15.8℃
  • 맑음밀양16.8℃
  • 구름조금산청14.6℃
  • 구름많음거제16.1℃
  • 흐림남해16.9℃
  • 구름조금15.9℃
기상청 제공
삼국삼색(三國三色), 아시아의 풍류가 펼쳐지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회

삼국삼색(三國三色), 아시아의 풍류가 펼쳐지다

2017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초청공연

   
▲ 2017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초청공연
[광교저널] 아시아를 대표하는 세 나라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이 한자리에 모인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중국, 몽골, 일본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전승자를 초청해 오는 8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전라북도 전주시)에서 공연을 펼친다.

공연 첫날인 8월 4일에는 오후 7시부터 중국의 전통음악이 관객을 만난다. 먼저 ▲ 3,0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현악기인 ‘구친(古琴)과 그 음악’은 10가지 방법으로 4옥타브의 음색을 낼 수 있는 악기 구친을 예인의 뛰어난 연주로 들려줄 예정이다.

다음으로 느리고 간결하면서도 우아한 곡조를 ‘동샤오(洞簫, 대나무로 만든 피리, 퉁소)’와 비파(琵琶, 세워서 연주하는 목이 구부러진 현악기), 관현악기와 타악기 등으로 연주하는 ▲ ‘난인(南音)’이 그 뒤를 잇는다. 난인은 중국 남동부 푸젠성(福建省) 민난(?南) 지역 사람들과 해외로 떠난 민난인들의 문화를 담은 음악예술이다. 이어서 ▲ 중국 쑤저우(蘇州) 지역에 있는 쿤산(昆山) 시에서 발달한 악극으로, 현존하는 중국 전통 악극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쿤취(崑曲)’가 중국 공연을 마무리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쿤취의 대표작 ‘모란정’을 선보이며 극 중 주연을 맡은 이공률(李公律)과 장지홍(?志?)은 쿤취 ‘국가1급 배우’로 중국에서도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는 배우다.

8월 5일 오후 2시에는 몽골 공연이 펼쳐진다. 먼저 ▲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의 음을 내어 다양한 화음을 만드는, 몽골만의 독특한 가창예술인 배음(overtone)을 선보이는 ‘몽골족의 가창예술, 후미(후메이)’와 중국과 공동 등재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풍부한 장식음과 가성, 폭넓은 음역을 보여주는 ▲ ‘오르팅 도, 전통민요 장가’가 선보인다.

또한, ▲ ‘모링 호르의 전통 음악’은 유목문화에서 탄생한 독특한 악기로, 머리에 말머리 조각장식이 특징인 모링 호르로 연주하는 음악이다. 초원에서 부는 바람 소리처럼 들린다 해 초원의 첼로로 불린다. 몽골 민족무용의 원형으로 간주되는 ▲ ‘비일게’는 유목민의 생활 방식을 표현한 예술로, 보통 ‘게르(이동식 천막집)’ 안의 좁은 공간에 반쯤 앉거나 책상다리를 한 채 공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공연에는 몽골의 국가지정 인민배우자 공훈배우인 체. 체렌더르쯔(Ц. Цэрэндорж)를 비롯해 몽골 무형유산의 대표적인 전승자들이 다수 참여한다.

5일 오후 7시부터는 일본 오키나와(沖繩) 제도(諸島)에서 연행되는 공연예술 ▲ ‘구미오도리(組踊)’가 열린다. 지역의 전통 음악과 춤을 바탕으로, 노가쿠(能樂)나 가부키(歌舞伎) 같은 일본 본토 전통공연뿐 아니라 중국의 여러 전통극 요소까지 통합·발전해온 예술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구미오도리’의 대표 공연 프로그램으로, 18세기 류큐 왕국의 연회감독인 ‘다마구스쿠 초쿤(玉城朝?)’이 창작한 ‘슈신카네이리(執心鐘入)’를 만나볼 수 있다.

한국 최초로 일본 국립극장 오키나와가 참여하는 이번 공연에는 일본의 인간국보(人間國寶, 한국의 국가무형문화재에 해당)인 니시에 키?(西江喜春)이 출연해 구미오도리의 진수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공연 시작 전에 호서대학교 박은옥 교수(중국), 영남대학교 박소현 교수(몽골), 숙명여자대학교 이지선 교수(일본)가 초청 종목의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를 자세히 들려준다.

2017 인류무형문화유산 초청공연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주최하고,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일본 국립극장 오키나와, 주한일본국대사관, 중국 절강성비물질문화유산연구원이 후원한다. 공연은 무료이며, 오는 24일 오전 9시부터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에서 사전예약을 할 수 있다. 10명 이상 단체관람은 전화(☎063-280-1500)로 문의하면 된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다양한 전통문화 간 교류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외국의 무형유산에 관해서도 관심을 높이고 이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를 더욱 활발히 계승, 발전시키는 자극제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초청공연을 꾸준히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