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지역경제 활력 주역'야시장, 골목경제'뜨거운 관심속에 최종선정

기사입력 2017.06.29 12:29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s url
       
    ▲ 야시장현황
    [광교저널]행정자치부는 2017년도 ‘야시장’ 및 ‘주민주도형 골목 경제 활성화 사업’으로 야시장 4개소, 골목경제 5개소를 최종·선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3∼4월 실시한 공모사업에는 전국 지자체가 야시장 14개소, 골목경제 27개소를 신청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지자체의 적극적인 의지를 엿볼 수 있었는데, 행자부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의지, 지역 및 특수성을 고려한 주민 주도의 차별화된 전략, 지역의 입지조건, 청년창업 등의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현장실사 등 투명하고 공정한 심사를 통해 최종 야시장, 골목경제 활성화 지역을 확정했다.

    2013년 부산부평깡통시장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9개소가 운영중에 있으며, 올해 4개소가 추가로 개장할 예정인 야시장 조성사업은 전통시장의 경관조성, 판매대 제작, 청년몰 설치, 고객 편의시설 등을 통해 젊은층과 관광객을 끌어 들이고 지역 문화·관광자원과 연계해 지역의 대표 관광명소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또한, 골목경제 활성화 사업은 지역의 골목 특수성과 보유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쇠퇴한 골목상권을 주민 주도하에 과거의 화려한 명성으로 되살리는 사업으로 작년 부산백년송도골목과 경북 영주학사골목이 최초 개장했으며, 올해는 4개소가 추가로 조성될 예정으로 구도심 지역경제 부활과 지역공동체 복원의 구심점 역할의 주역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9곳에는 총 45억원의 재정지원이 되며, 사업성격에 따라 상인교육, 앵커시설 조성, 매대제작. 상권재구조화, 시설개선 등 다양한 준비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새롭게 문을 열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금년 공모사업이 지자체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아쉽게 최종선정 지역에서 제외된 지역을 대상으로 분야별 전문가를 구성해 맞춤형 컨설팅 지원을 다할 예정이다.

    심보균 행정자치부 차관은 “야시장과 골목경제 사업은 생활상권을 중심으로 상인과 주민들이 주도해 쇠퇴한 상권을 살리고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청년 아이디어 실행을 위한 생활경제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번 사업선정으로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새로운 지역발전의 패러다임을 보여줄 것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중심축이 되도록 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backward top home